대퇴골과 정강뼈, 종아리뼈, 무릎뼈로 구성된
무릎관절은 타원관절 형태를 이루며 무릎의 굽힘과 폄에 관여합니다.
무릎 구조상 발안정성을 보이지만, 반월판연골,
십자인대, 근육 등의 조직으로 무릎의 안정성을 보강하여
정상적인 움직임을 만들어냅니다.
01
무릎관절염
무릎 관절을 이루는 뼈와 인대 등에 누적된 손상으로 염증과 통증이 동반되는 질환입니다. 초기 관절을
보호하고 있는 연골, 인대의 일차적인 손상으로 방치할 경우 뼈의 변형까지 이어지는 질환입니다.
02
무릎 반월상 연골판 손상
노화로 인한 퇴행성 변화 및 갑작스러운 충격으로 인해 탄력성을 잃은 반월상 연골판이 찢어지는
질환을 의미합니다. 무릎연골은 대퇴골과 정강이 뼈 사이에 위치한 초승달 모양의 구조물로 쿠션
역할을 담당하며, 움직임을 부드럽게 할 뿐 아니라 윤활작용과 영양 공급의 역할을 수행합니다.
손상시 이러한 기능의 부재로 통증 및 무릎관절염으로까지 이어질 수 있습니다.
03
십자인대 손상
무릎의 불안정성을 보완하기 위해 기능하는 (전/후/측방)십자인대의 파열상태 입니다. 가장 대표적인
증상은 움직임 중 무릎이 흔들거리는 불안정성입니다. 이와 함께 통증, 발열, 부종 등의 증상이 동반될
수 있습니다.